수확의 기쁨? 고통도 있어!

2013. 11. 15. 17:38누리에 말걸기/<함께하는 품>

황금물결이 일렁이던 들녘은 이제 칙칙한 흑갈색으로 되돌아갔다. 휑한 바람이 불고 공기가 차가워졌다. 며칠 전 대입수능시험을 치렀고, 엊그제는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렸으니 그럴 때도 되었지 싶다. 늦가을이요, 겨울의 문턱이다.

 

올해 가을걷이는 모두 끝났다. 그런데 이번엔 벼 수확에 큰 애를 먹었다. 오늘에야 마지막으로 햇볕에 널어 말린 나락을 거둬들였다. 남들보다 열흘 이상 늦었다. 가을비가 유난히 잦았던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여태 일머리를 깨치지 못한 반풍수의 비애라 해야겠다. 지난해 이맘때의 가을걷이 참 싱겁더라!”는 얘기는 결국 입방정이 되고 말았다. 싱겁기는커녕 물찬 논에서 낫으로 벼를 베는 생고생을 했으니 말이다.

 

막판에 사달이 났다. 나머지 논은 다 거둬들이고 죽산배미네 마지기만 남긴 상태였다. 콤바인 작업 전날 갓 돌리기’(기계작업이 편하도록 논 귀퉁이를 낫으로 베어놓은 일)를 하러 갔다가 멘붕을 맞았다. 적당히 말라 있으리라 믿고 있던 논바닥 절반에 물이 흥건한 게 아닌가. 그 동안 바깥쪽이 잘 말라 있어 안쪽도 그러려니 넘어 간 게 탈이었다. 언덕 쪽에서 계속 물이 흘러든 것을 까맣게 몰랐던 것이다. 지난 몇 년 묵혀뒀다가 올해 처음 지은 논이라 그 뽄새를 잘 알 수 없던 탓도 컸다. 그러나 이미 엎질러진 물. 그 상태로는 아예 콤바인 작업을 할 수가 없다. 그렇다고 지금부터 논바닥을 말리자면 이 겨울이 다 지난다.

 

남은 길은 두 가지. 수확을 포기하거나 가시밭길을 가거나. 하지만 수확을 포기하기엔 작황이 너무 좋다. 이삭도 묵직하고 나락 때깔도 곱다. 무엇보다 한 해 동안 쏟은 땀방울을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. 갈 길은 처음부터 정해져 있었다. 콤바인이 들어갈 수 없는 곳을 낫으로 베어내는 것-이게 바로 벼베기-이다.

 

그게 무에 어렵냐고 할지 모르겠다. 그러나 가뜩이나 일손이 모자란 요즘 농촌에, 그것도 발이 푹푹 빠지는 진창 논 벼베기에 품을 팔 사람은 없다. 혼자서? 그러다가 추수철 다 끝난다. 오직 고난을 함께 할 동지만이 구원해줄 수 있다. 염치 불구하고 영록 씨한테 하소연했더니 친구 한 명을 데리고 와서 두 어 시간 도와주고 갔다. 그래봤자 턱도 없다. 같은 생태작목반 주란 씨한테 사정을 얘기했더니 다음날 점심때가 막 지나 전화가 왔다.

 

지금 그 쪽으로 갈려고 하는데, 논 위치가 어디래요?”

주란 씨만이 아니라 조금 뒤에는 정화 씨와 영자 씨가 잇따라 도착했다. 반가운 마음보다는 여인들에게 그 험한 논일이라니, 미안함이 앞선다. 그래도 여럿이서 낫질을 하고, 볏단을 묶어 세우니 아득하기만 하던 작업이 한나절 만에 끝이 났다. 이건 기적이다.

 

 

이제 콤바인만 모셔오면되는데 그게 쉽지가 않다. 지금껏 우리 논을 맡아온 이의 콤바인은 큰 고장이 나 정비공장에 들어가 있다 하고, 다른 이들 기계도 이런저런 이유로 작업이 어렵다고 했다. 해서 이웃마을까지 달려가 통사정을 해봤지만 대답은 단호했다. 이미 기계를 청소해서 창고에 들여놔 다시 꺼낼 수가 없다는 얘기다. 내 생각에도 고작 네 마지기 작업비 바라고 무리를 하긴 힘들겠지.

 

그러니 이번에도 동지헌신적 연대에 기댈 수밖에 없다. 친환경 벼작목반 장 회장한테 마지막 희망을 걸어보기로 했다. 이 분으로 말할 거 같으면, 그냥 옆 동네도 아니고, 논에서 이십 리 길 떨어진 강 건거마을에 살고 있다. 전화로 어렵게 얘기를 꺼냈는데 뜻밖에 알았다고 한다. 이런저런 군소리도 없다. 오후에 시간이 나는 대로 해주겠다는 것이다. 마른 논은 콤바인을 몰아 수확했고, 낫으로 베어 묶어 둔 볏단은 하나하나 날라다 털었다. 그게 지난 주말, 시답잖은 입방정때문에 제대로 혼쭐이 난 셈이다. 앞으론 입조심 단단히 해야겠다. <함께하는 품> 9-1호 (201311)